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3-12-05 12:25:26
기사수정

"나는 정상인데,장인이 대머리면 우리 아들은 대머리 확률 2배"


대머리에 관하여 많은 속설 들 중, 격세유전, 즉 탈모는 2대에 걸쳐 발생한다 라는 말은, 빠진 머리를 나게 해준다는 말 만큼이나 자주 듣게되는 말이다. 이러한  속설들은 사실일까.


결론적으로 반반이다. 쌍둥이 관련 기사에서도 언급했듯이, "그 어떤 유전형질도 정확하게 100% 2대에 걸쳐 나타는 것은 없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네오성형외과 박정일 원장은, 단순히 할아버지는 손자에게로 어머니의 유전은 그 다음 세대로, 딸보다는 아들이 더 영향을 받는다 와 같은 사실은 속설에 불가하다고 지적한다.  우성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후대에 발현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부정확한 정보에 불가하다.


그렇다면, 이런 속설이 생긴 원인은 뭘까? 한국여성건강연구소 정지윤 소장은, 아버지가 정상인데 아들이 탈모가 되었을 경우, 일반적일 경우에 비하여 훨씬 더 큰 주목을 받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런 속설들이 그럴 듯 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박정일 원장은, "대머리 즉 탈모 증상은 , 유전 이외에도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 사실 하나만으로 정의할 수 없는 문제이다"고 했다


자료자문 = 박정일 원장, 정지윤 한국여성건강연구소소장





"I'm normal. If my father-in-law is bald, my son is twice as likely to be bald"

Among the many myths about baldness, biomegaly, or hair loss, is as common as it is to say that hair loss occurs over two generations. Are these myths true.


In conclusion, it's half and half. "None of the genotypes is exactly 100 percent cross-generational," experts say, as reported in an article about twins. Park Jeong-il, the president of Neo-Plastic Surgery, points out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a myth that simply a grandfather is a grandson, and the mother's inheritance is to the next generation, with a son more affected than a daughter. Other than the fact that dominant genes are generally likely to be expressed in later generations, inaccurate information is impossible.



So, what's the cause of this myth? Jung Ji-yoon, director of the Korea Women's Health Institute, said these myths often sound plausible because if a father is normal and his son loses hair, he is more likely to receive a lot more attention than normal.



Director Park Jung-il said, "The symptoms of baldness, or hair loss,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besides genetics. Therefore, this fact alone cannot be defined."



Data Advisory = M.D. Park Jung-il, Director Jung Ji-yoon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whnbnews.com/news/view.php?idx=1257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